굴렁쇠배움터 170

한국식물생태보감 저자와 함께하는 홋카이도 식물산책 참가자 모집

“식물을 통해 세상을 보다”【한국식물생태보감 저자와 함께하는 홋카이도 식물산책】  식물사회 속과 겉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쓴 한국식물생태보감> 저자 김종원 교수와 함께하는홋카이도 식물산책을 아래와 같이 떠납니다.▶식물산책하는 주요 내용◀-. 동해를 바라보는 해당화와 떡갈나무의 사항-. 설악산 눈잣나무와 울릉도 섬조릿대의 조우-. 지구 온난화 시대에 고층습원의 본래 면목-. 울릉도너도밤나무와 제주도 물참나무가 맞부딪친 까닭☞가는 곳, 보이는 식물이 모두 공부!!! ♧ 때 : 2025년 5월 12일(월) ~ 5월 16일(금)-4박5일 1) 출발 : 5월 12일(월)김해공항 오전 8시 30분  예정. ♧ 출발하는 곳 : 부산 국제공항 1번 게이트 앞에 오전 6시50분까지 모임니다. 2) 도착 : 5월16일(금)..

알림판 2024.12.21

현금인 샘 강의- 밀양 미전천에서 하는 버드나무 생태교육

2024.04.08.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천생태공원에서 단체 사진. 2024년 람사르환경재단 민간단체지원사업, 네 번째 강의로, 밀양생태문화연구회에서 오랫동안 활동을 하고 있는 현금인 선생님이 주제로 강의를 해주었다.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에서 그 교육현장 가까이에 있으면서 자주 관찰하고, 늘 접하는 사람이 최고 고수이다. 1,2,3강은 우포늪 중심으로 생태교육 관점에 대해서 배웠다. 4강 부터는 생태교육현장을 찾아 그 곳에서 있는 동식물을 살펴보면서, 아이들에게 맞는 생태교육을 만들어 봤으면 한다. 그리고 습지생태교육지도자에 맞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아무리 비싸고 좋은 옷이라고 제 몸에 맞지 않으면 쓸모가 없는 것이다. 미전천생태공원 주차장에서 소개시간을 가졌다. 미전천생태..

창녕우포늪가족서포터즈- 2024년 우포늪 봄을 느끼다

2024년 4월7일 사지포 사랑 언덕에 팽나무 꽃이 폈다. 암수꽃이 같이 또는 수꽃이 같이 피었다. 팽나무는 잡성화이다. 수꽃은 제 할일을 다하고 부셔져 떨어지고, 암꽃은 열매가 되기 위해 햇살을 받으며 익어 갈 것이다. 2024년 창녕우포늪가족서포터즈(알림이) 첫 활동이 4월 7일(일)에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창녕우포늪생태관관협회가 여는 행사로 달마다 첫 째주 일요일 마다 진행된다. 우포늪 둘레와 우포늪생태체험장,우포늪생태관을 활용해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내용에 따라 학부모와 함께하거나 아이들끼리 모둠을 나눠, 우포늪 동식물을 관찰하면서 즐겁게 노는 프로그램이다. 작년에 이어 참가하는 친구들과 올 해 새롭게 참가하는 어린이들로 짜여졌다. 작년에 해봤다고 올 해는 할 필요가 없다가 아니라, 작년..

우포늪 왜가리 할아버지 이인식샘- 우포늪을 활용한 생태교육사례

2024년 람사르환경재단 민간단체지원사업 두 번째 강의가 2024년 3월 25일(월), 창녕군 우포마을도농교류센터에서열렸습니다. 강의 제목은 입니다. 이 강의는 오랫동안 우포늪 둘레에 살면서 주민들과 함께해온, 왜가리 할아버지로 많이 알려져 있는, 이인식 선생님이 맡아 주었습니다. 이인식 선생님은 우포늪 둘레에 있는, 새진과 관동마을에서 살면서 주민들과 함께 생태마을만들기를 해왔습니다. 우포늪 둘레에 있는 마을사람들과 처음부터 한 마음이 되어 생태마을만들기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새가 밥 먹어주나'" 라고 하는 보전과 개발이 서로 마찰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해결해 가야할 과제도 있지만, 이 정도의 우포늪 환경을 가꾸어 온것도 앞서 행동했던 사람들의 노고가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 역할에 왜가리..

한국식물생태보감 저자 김종원 교수- 식물로 보는 우포늪 생태 이야기

우포마을도농교류센터에서 1강을 마치고 찍은 단체사진. 2024년 3월18일(월) 오전10시, 창녕 우포마을도농교류센터에서 1강 '식물로 보는 우포늪 생태'라는 주제로 김종원 교수님 강의가 있었습니다. 이 사업은 람사르환경재단이 지원하는 민간단체지원사업입니다. 1시간30분 강의를 하고 30분 질문을 갖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는데, 그의 1시간 50분을 쉬지도 않고 강의를 이어갔습니다. 간간히 참가자들이 재미를 더하는 이야기까지 곁들여서 하다보니 1시간50분이 지루할 틈이 없었습니다. 물론 참가한 사람들이 습지생태교육에 관심이 높은 것고 한 몫 했겠지예. 1시간 50분동안 이어진 강의를 모두 글로 담을 수 있는 능력도 안되지만, 그래도 좋은 이야기는 나눔을 해야하기에 몇 가지 옮겨 봅니다. 혹, 잘못된 내용이..

습지생태교육 지도자교실

【습지생태교육 지도자교실】 기후위기 예를 들지 않더라도 오래전부터 습지는 인간 삶에 중요한 터전이였습니다. 습지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새기면서, 자라는 아이들에게 다가갈 습지생태환경 프로그램 만들기 위한 을 아래와 같이 엽니다. 뜻있는 사람들은 참여 바랍니다. ▶목적: 습지생태를 바르게 이해해서, 습지현장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습지생태문화 지도자를 양성하고자 함. = 아래 = ▶참가할 수 있는 사람 : 습지생태교육에 관심이 있는 어른 15명 이내. ※1,2,3강은 열린강좌로 30명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가는 곳 : 우포늪을 비롯한 낙동강 둘레 습지 곳 곳 ▶진행원칙 : 1)우선 신청하는 사람 15명은 승합차로 가고 나머지는 5명은 개인차로 이동합니다. ※순천만 입장료도 15명까지는 기본요금만 지불하고 나..

알림판 2024.03.01

굴렁쇠사천4기역사생태체험단-순천낙안읍성을 가다

낙안읍성 객사 앞 홍살문. 굴렁쇠사천4기 역사생태체험단이 순천 낙안읍성을 찾았어요. 우리나라 3개 읍성으로는 서산 해미읍성, 고창읍성 그리고 순천 낙안읍성이 있습니다. 읍성 안에 사람들이 사는 집이 많이 있어 관광과 생활 공간이 함께하는 곳으로는 낙안읍성이 으뜸입니다. 우직하게 옛 것을 보존한 덕택으로 높은 관광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매표소 검표 자료관 지킴이, 체험들은 주민들이 직접하고 있습니다. 관광 수익이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공정여행 본보기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지역마다 읍성을 있어, 적들을 침입을 막거나 행정 업무를 보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사천에는 일본군이 쌓은 선진리성과 사천읍성이 있습니다. 낙안읍성을 통해 내고장 사천읍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그리고 조선시대 백성들 삶과..

창녕우포는가족알림이(서포터즈)-모내기와 물풀관찰하기

창녕우포늪 주매생태체험장에 마련된 논체험장. 글자를 들고 단체 사진을 찍었습니다. 창녕우포늪생태관광협회가 여는 우포늪 가족알림이 활동이 우포늪 주매생태체험장과 세진생태관에서 있었습니다. 6월 햇살은 따사롭고,나무 아래는 시원함을 느끼는 2023년 6월 4일입니다. 산에는 뻐꾹이가 울고, 논언저리 언덕에는 산딸기가 익어갑니다. 먹을거리가 부족한 시절에는 쌀 한톨이 소중했습니다. 지금은 먹을거리가 많은 시절이라 먹을거리에 대한 소중함이 덜합니다. 직접 모내기를 해보면서 먹을거리 중요성과 농부 힘듦을 함께 느껴 봤으면 좋겠습니다. 2월부터 시작한 창녕우포늪 가족알림이 체험이 갈수록 열기가 더해가고 있습니다. 교육은 꾸준히 반복적으로 해나갈때 성과가 나타납니다. 아이들과 부모님이 참여하는 열의만큼 배움도 더 커..

환경부 사회환경교육지원사업5-우리도함께해요탄소중립실천, 새생태알아보기

환경부,환경보전협회 국가환경교육센터가 후원하는 2023년 사회환경교육지원사업 , 다섭 번째 는 창원 남산공원,창원의집, 온누리 실내교육장에서 나눠 진행되었습니다. 환경부가 생애주기별 사회환경교육을 하기위해 마련된 사업으로 굴렁쇠배움터가 맡아서 합니다. 프로그램은은 창원에 있는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센터 세 곳(정나룸,온누리,예랑)을 선정하여, 한 센터당 칠 회 걸쳐 마을공원에서 이루어지는 생태환경교육입니다. 탄소중립실천 공통 주제 두 개, 선택 주제 다섯개로 마을공원에 있는 동식물 관찰활동과 놀이, 시장바구니 사용 홍보와 우포늪 습지체험도 함께 하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있습니다. 진행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관찰하기, 생태놀이, 발표하기 들로 짜여져 있으며, 모든 내용은 발달장애인들의 눈높이에 맞춰져 있습니다..

환경부 사회환경교육지원사업3-우리도함께해요탄소중립실천, 벚나무와 놀아요

환경부,환경보전협회 국가환경교육센터가 후원하는 2023년 사회환경교육지원사업 , 세 번째 프로그램은 창원 수목원, 창원 남산공원, 창원 마산 가포수변공원에서 나눠 진행되었습니다. 환경부가 생애주기별 사회환경교육을 하기위해 마련된 사업으로 굴렁쇠배움터가 맡아서 합니다. 프로그램은은 창원에 있는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센터 세 곳(정나룸,온누리,예랑)을 선정하여, 한 센터당 칠 회 걸쳐 마을공원에서 이루어지는 생태환경교육입니다. 탄소중립실천 공통 주제 두 개, 선택 주제 다섯개로 마을공원에 있는 동식물 관찰활동과 놀이, 시장바구니 사용 홍보와 우포늪 습지체험도 함께 하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있습니다. 진행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관찰하기, 생태놀이, 발표하기 들로 짜여져 있으며, 모든 내용은 발달장애인들의 눈높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