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지청소년문화의집-청소년 창녕 역사기행 유리고인돌,돌장승,관룡사 용선대 오랫만에 토요체험을 다녀왔습니다. 내고장 창녕 유물 살펴보기를 했습니다. 찾아 간 곳은 장마면 유리고인돌, 관룡사 석장승, 용선대 석불, 관룡사 약사전을 둘러보고 왔습니다. 기온이 떨어져 쌀쌀한 날씨였지만, 언덕과 산을 오르면서 힘도 기르고, 내고장 문화재를 살펴보면서 겨울 방학 추억을 만들었습니다. 춥다고 실내만 있으면, 몸도 마음도 더 움추려지지요. 다들 코로나19로 움추려진 몸과 마음을 활짝 펼친 하루였습니다. ♥ 여행과 아이들 2022.01.29
남지청소년문화의집-까마귀,까치 생태 살펴보기 새들은 늘 가까이에 있지만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있는 줄 모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금만 신경을 쓰면 볼 수 있는 까마귀와 까치 생태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까마귀와 까치는 우리 겨레들과 늘 함께 해왔기 때문에 얽힌 이야기가 많습니다. 오작교, 삼족오, 치악산, 까마귀가 울면 재수가 없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등 까마귀와 까치에 얽힌 이야기가 많습니다. 사람들 가까이에 많이 보이는 큰부리까마귀 부터 까치 종류로는 떼까지, 물까지, 산까치 따위들을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까마귀 이야기를 주제로 꾸미기를 했습니다. ♨ 사는 이야기 2020.12.11
남지청소년문화의집-따오기 상징물 그리기 우리나라에서 오래 전에 사라졌던 따오기를 중국에서 들여와 공들여 키워 왔습니다. 작년에 공들여 키운 따오기 일부를 우포늪에 내보냈습니다. 사라졌던 따오기를 복원해서 다시 자연에 내보내 살도록 한 것은, 자연를 보호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 한 것입니다. 새가 자연에서 사라진다는 것은 사람도 살 수 없는 세상이 된다는 것입니다. 따오기가 자연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잘 적응 할려면, 창녕 지역 사람들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그런 도움은 자라나는 아이들이 따오기 생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보호할려는 노력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그런 뜻으로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들이 따오기 생태를 살펴보고 따오기 상징물 그리기를 했습니다. 바깥으로 나가 따오기도 직접 관찰하기로 했습니다만, 코로나19로 실내에서만 .. ♨ 사는 이야기 2020.12.04
남지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단청 살펴보기 코로나19 한 창 활개치던 2020년,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반 청소년들과 함께 일주일 2회씩 역사,생태,민속을 공부했습니다. 가까운 이야기 부터 쉽고 재미있게 알고자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초등학생 눈높이 맞는 진행과 연속적인 수업으로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들도 역사,생태,민속 전문가가 됩니다. 배운 내용을 몸과 마음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시간은 80~90분입니다.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그리고 작품만들기를 하고 난뒤 만든 작품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단청(붉은단 푸를청)은 절이나 궁궐에서 볼수 있습니다. 오방색이라고 해서 우리나라 전통문양에서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늘 가까이하고 있는 문양이지만, 단청에 대해 모르면 그냥 색이구나 하고 지나가지만, 단청이 가지고 느.. ♨ 사는 이야기 2020.11.26
남지청소년문화의집-8.15해방 뜻 살펴보기 창녕 남지는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을 사이를 두고, 북과 남이 치열한 전투를 한 곳입니다. 전쟁이 아픔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역사의 현장인 남지철교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로 많은 곳을 가지 못하고 남지철교와 남지청소년문화의집에서 한국전쟁과 일본제국의 압제에서 벗어난 8.15해방 뜻을 다시 한번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8.15해방의 뜻을 제대로 알리기 위해 펼침막 만들기를 했습니다. 다들 주어진 과제를 열심히 합니다. 다 만든 펼침막을 들고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참여한 아이들이 직접 표현해보는 공부를 통해 8.15 해방의 뜻을 다시 새기고 남북이 하나되는 날을 기원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굴) ♨ 사는 이야기 2020.11.26
남지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 빗살무늬 살펴보기 코로나19로 많은 청소년들이 숨 죽이며 살던 2020년,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아카데미반 어린이들과 함께 일주일 2회씩 역사,생태,민속을 공부했습니다. 가까운 이야기 부터 쉽고 재미있게 알고자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초등학생 눈높이 맞는 진행과 연속적인 수업으로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들도 역사,생태,민속 전문가가 됩니다. 배운 내용을 몸과 마음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시간은 80~90분입니다.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그리고 작품만들기를 하고 난뒤 만든 작품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토기 할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빗살무늬토기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토기를 어떻게 사용했을까? 토기 밑에 왜 뽀족할까? 등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기도 했지만, 토기 문양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 사는 이야기 2020.11.26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창녕박물관 유물과 놀다 코로나19로 많은 청소년들이 숨 죽이며 살던 2020년,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아카데미반 어린이들과 함께 일주일 2회씩 역사,생태,민속을 공부했습니다. 가까운 이야기 부터 쉽고 재미있게 알고자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초등학생 눈높이 맞는 진행과 연속적인 수업으로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들도 역사,생태,민속 전문가가 됩니다. 배운 내용을 몸과 마음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시간은 80~90분입니다.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그리고 작품만들기를 하고 난뒤 만든 작품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남지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역사공부는 창녕박물관 공부 전과 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동안 청소년 문화의 집에서 배운 내용을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반복적으로 듣고 배운 유물을 직접 박물관에서 만나니.. ♨ 사는 이야기 2020.11.25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 우포생태관에서 놀다 코로나19로 많은 청소년들이 숨 죽이며 살던 2020년,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아카데미반 어린이들과 함께 일주일 2회씩 역사,생태,민속을 공부했습니다. 가까운 이야기 부터 쉽고 재미있게 알고자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초등학생 눈높이 맞는 진행과 연속적인 수업으로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들도 역사,생태,민속 전문가가 됩니다. 배운 내용을 몸과 마음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시간은 80~90분입니다.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그리고 작품만들기를 하고 난뒤 만든 작품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청소년문화의집에 꾸준히 공부한 내용을 박물관에서 확인하는 현장 공부를 할 계획이였습니다. 코로나19로 멀리는 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창녕군 내에서 있는 우포생태관과 창녕박물관을 찾아 그동안 배운 배운 내용.. ♨ 사는 이야기 2020.11.25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가야유물 살펴보기 코로나19로 많은 청소년들이 숨 죽이며 살던 2020년,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아카데미반 어린이들과 함께 일주일 2회씩 역사,생태,민속을 공부했습니다. 가까운 이야기 부터 쉽고 재미있게 알고자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초등학생 눈높이 맞는 진행과 연속적인 수업으로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들도 역사,생태,민속 전문가가 됩니다. 배운 내용을 몸과 마음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시간은 80~90분입니다.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그리고 작품만들기를 하고 난뒤 만든 작품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김해금관가야 유물을 살펴보고 가야상징물 그려보기를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야유물 살펴보기로 배모양토기, 수레바퀴모양토기,짚신모양토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상징물 그려보기를 했습니다. 그림그리기.. ♨ 사는 이야기 2020.11.25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가야유물 살펴보기 코로나19로 많은 청소년들이 숨 죽이며 살던 2020년, 남지청소년문화의집 아카데미반 어린이들과 함께 일주일 2회씩 역사,생태,민속을 공부했습니다. 가까운 이야기 부터 쉽고 재미있게 알고자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초등학생 눈높이 맞는 진행과 연속적인 수업으로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들도 역사,생태,민속 전문가가 됩니다. 배운 내용을 몸과 마음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시간은 80~90분입니다.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그리고 작품만들기를 하고 난뒤 만든 작품 발표하기를 했습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더 한 달 정도 남지청소년문화의집이 휴관을 하고, 2학기 수업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첫 시간으로 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2학기는 역사 중심으로 하기로 하고 기초부터 자세하기로 했습니다. 사람은 어.. ♨ 사는 이야기 2020.11.25